반응형 가상화폐5 시아 코인(SC) 호재 전망 시세와 데이저 저장 서비스란? | 코인에프피 금일 엄청난 김프가 낌과 동시에 조정장이 찾아왔습니다. 하락이 올 수 밖에 없음을 의미하는데요. 이는 수요가 공급을 감당하지 못하면서 터진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외 비트코인가격이 내려가면서 국내 비트 가격도 하락을 맞았습니다. 오늘 다룰 시아 코인입니다. 코인에프피 알트 코인 & 비트코인 & 코인 추천 #비트코인 #암호화폐 #이더리움 #업비트 #빗썸 #알트코인 #아이콘 #디카르고 #리플 #라이트코인 #체인링크 #코인픽 #메디블록 #비트토렌트 open.kakao.com 개요 최초 발행 15년 6월 시가총액 2.6조원 블록 생성주기 10분 채굴 보상량 약 30,000 SC (감소예정) 총 공급량 47,326,972,992 총 발행한도 제한없음 시아코인 호재 시세 전망 알아보기 시아코인은 15년도에 최.. 암호화폐 2021. 4. 18. [코인정보4] 도지 코인 전망 일론머스크의 코인 도지코인 시세와 채굴 알아보기 | 코인에프피 금일은 물론이며 2021년 상반기 핫한 코인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도지코인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장난삼아 만든 코인 도지코인은 2013년 빌리 마커스와 잭슨 팔머가 만든 비트코인을 위시한 암호화폐 시장 열풍에 탑승한 코인입니다. 시바견이 상당히 귀엽죠. 도지코인은 소셜 미디어에서 팁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흥미롭거나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한 사람들에게 나눠줍니다. 허나 가장 중요한 부분이 하나 있는데... 빠른 코인생산속도와 생산량이 고정되지 않다는 점입니다. 초기에는 생산량이 1000억개로 고정되어 있었으나 현재 무제한(...)으로 생산이 바뀌었으며 1분에 만개의 코인이 생겨나는 초인플레이션으로 어지러운 코인입니다. 1년을 계산해본 결과 52억개의 새로운 도지코인이 생겨난다고 하죠. 일론머스.. 암호화폐 2021. 4. 15. [암호 화폐 관련 용어1] KYC란 무엇일까? 암호화폐를 보면 한번쯤 보게 되는 KYC | 코인에프피 여기서 ICO에 대한 용어는 짧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ICO (initial Coin Offering)으로 새 암호화폐에 불특정 다수의 투자잘부터 자금을 확보하고 이것을 빌미로 코인을 주는 행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게 뭔데? ICO에선 만들게 된 동기, 목적, 운영방식과 앞으로 이렇게 할거다라는 내용의 백서를 발행하고 밋업하지요. 초기 ICO에서 문제 삼는 점중 하나가 예전부터 있었던 구매자와 판매자를 위한 장치(규정과 제도)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마련된 것이 KYC 입니다. KYC(Know Your Customer)이며 금융거래 사고 방지를 위해 지불을 한 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검증하는 절차입니다. KYC는 플랫폼이 아니고 그냥 절차입니다. 신뢰를 기반으로 구성된 시스템인 만큼 플랫폼마다.. 암호화폐 2021. 4. 15.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대해서 | 코인에프피 여러 코인 뉴스나 칼럼, 포럼을 접하다 보면 지속적으로 접하는 용어가 여럿 있는데 오늘 제목에서 상기한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에 대해서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드포크와 소프트 포크를 알기전에 우리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도 왜 반드시 업데이트를 해야하는가에 대해서도 질문을 끊임없이 던져야 하는데 용어부터 알고 넘어가보도록 합시다. TERMS 블록체인 프로토콜( Block chain Protocol) : 커넥션, 채굴, 거래 규정등등 확언하게 밝힌 코드 규칙을 뜻합니다. 네트워크의 일부중 하나가 되기 위해서 모든 유저는 약속으로 지정해 놓은 프로토콜을 지키며 활동해야할 것입니다. 포크 : 기존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내용의 프로토콜 버전을 받게 될경우를 지칭합니다. 용어도 생소하고 내용도 잘 이해가 되지.. 암호화폐 2021. 4. 11. 블록체인에 대한 고찰과 탈중앙화를 꿈꾸는 미래 금융 | 코인에프피 가상화폐가 붐을 일면서 여러가지 생소한 용어를 목격할때가 많은데요.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비트코인이 무엇인지 가상자산이 무엇인지 정확한 정의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할 내용들에 대해서 오늘 한번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블록체인 시스템 블록체인은 블록과 블록으로 데이터를 분산 시키는 프로세스를 일컫습니다. 해당 시스템 네트워크에 존재하고 있는 모든 유저들의 거래 내역 (비단 거래내역에만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은 아닙니다.) 을 데이터를 나누며 저장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블록체인에서 Block은 P2P 생태계에서(개인간 거래) 데이터를 엮는 기록이 됩니다. 블럭들은 하나 둘 서로 사슬처럼 연결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단단한 거미줄의 모습, 체인처럼 연결된 사슬구조를 띠게 되는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는 내.. 암호화폐 2021. 4. 10.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